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 '오징어 게임' 돌풍 환희 섞인 지옥도<br /><br />[오프닝: 이준흠 기자]<br /><br />시청자 여러분, 안녕하십니까? 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준흠 기자]<br /><br />방탄소년단 음악이, 영화 이 전 세계를 매료시켰습니다. 이번에는 드라마입니다. 이 넷플릭스에서 전 세계 94개국 시청 1위에 오르며 흥행 질주를 이어가고 있는데요. 세계를 평정한 K-드라마의 인기를, 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이 미국 현지에서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전대미문 '94개국 1위'…세계 평정한 K-드라마 / 이경희 기자]<br /><br />넷플릭스 공개 26일 만에 전 세계 1억 1천만 명의 눈을 사로잡으며 94개국에서 1위에 오른 오징어 게임.<br /><br />미국인들도 주변에서 오징어 게임 얘기밖에 안 한다고 말할 정도로 그 인기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식 빵을 파는 제과점에선 '달고나'가 인기 상품으로 떠올랐습니다.<br /><br />수작업이라 하루 100개 정도밖에 만들지 못하는데 대부분 예약주문으로 미리 팔려나갑니다.<br /><br /> "워싱턴, 버지니아뿐만 아니라 굉장히 먼 곳에서도 주문이 많이 들어와요. 하지만 멀리에서 들어오는 건 못하고 있고…."<br /><br />미국에선 다음 주 핼러윈을 앞두고 아마존에만 오징어 게임 관련 상품이 5천 개 가까이 판매되고 있고 오프라인 매장에도 주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속 유례없는 물류대란에 해외배송이 늦어지며 아직 매장에 도착도 못 했지만 선주문이 쇄도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 "한 번도 이런 경우를 본 적이 없어요. 사람들이 계속 전화를 하고 직접 방문해 오징어 게임 코스튬을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 묻고 있어요. 2021년 넘버 원 코스튬이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."<br /><br />미국 내 한인들은 스퀴드 게임의 인기가 BTS, 영화 기생충과는 체감 정도가 또 다르다고 말합니다. 더 가까이에서 직접적으로 느껴진다는 것입니다. 실제 거리에서 스퀴드 게임을 본 미국인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공감할 수 있는 소재에 더해 K팝이나 영화보다 상대적으로 접근이 쉬운 OTT 콘텐츠란 점이 미국을 비롯한 해외 팬들을 한층 더 끌어당긴 요인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 "한국어로 전체 시리즈를 시청하면서 배우들의 감정과 모든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. 느리지만 확실히 미국인들이 외국어 자막에 익숙해지고 있다고 느낍니다."<br /><br />결국 언어가 아닌 콘텐츠의 질이 성공을 좌우한단 사실이 입증되면서 외국어 영화, 드라마를 틈새시장 정도로만 여겼던 미국의 콘텐츠 제작업체들은 앞다퉈 해외 시장에 고개를 돌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넷플릭스는 오징어 게임으로 사상 최고 주가를 기록했고 3분기에만 유료 가입자를 438만 명 늘리는 성과를 올렸습니다.<br /><br /> "넷플릭스와 페스티바, 디즈니, 애플이 한국 콘텐츠에 돈을 투자하는 이유가 있습니다. (한국 콘텐츠가) 자리를 잡았고 엔터테인먼트 수익의 큰 부분을 차지할 것이기 때문입니다."<br /><br />냉전 시대 군비 경쟁이 이제 콘텐츠 경쟁으로 바뀌고 있는 시대에서 한국 같은 문화강국이 최대 수혜자가 될 거란 외신의 전망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[이준흠 기자]<br /><br />한국 사회의 부조리한 점을 다루는 , 전 세계인의 공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. 심화하고 있는 경제적 양극화가 공감의 배경이 됐다는 분석인데요. 에 감정 이입하는 시민들의 목소리를, 윤솔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<br /><br />[또 다른 '기생충'…세계가 공감한 현실의 지옥도 / 윤솔 기자]<br /><br />Q. '오징어 게임' 어떻게 보셨어요?<br /><br /> "'나오니까 더 지옥이다' 한국 사회의 모습을 잘 표현한 거 같은…저도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으로서 구하기도 힘들고 돈은 나갈 데도 많고 기회는 없으니까…"<br /><br /> "예전에는 열심히 살면 내가 좀 더 잘 살 수 있다 생각을 했는데 가면 갈수록 못사는 사람들은 열심히 살아도 거기에 계속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는 그런 현실을 잘 반영해 준 거 같아요."<br /><br /> "불평등한 것도 느꼈죠. 혼자서 생존하기 위해 남을 죽여야 하니까."<br /><br />드라마 '오징어 게임'에 열광하는 이유, 사람들은 등장인물들의 벼랑 끝 처지가 자신의 모습과 겹쳐 보였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목숨을 건 생존 게임에 뛰어든 사람들과 이를 유희 거리로 삼은 사람들의 강렬한 대비가 공감을 자아낸 겁니다.<br /><br />지난 10년 동안 한국의 불평등 정도는 악화되어 왔습니다.<br /><br />상위 10%와 하위 10%의 총소득을 비교한 소득 10분위 배율이 30배 이상으로 올라섰고, 특히 코로나19로 임금 노동자와 자영업자 등의 소득이 떨어지면서 상황은 더 나빠졌습니다.<br /><br />단지 우리나라만의 이야기는 아닙니다.<br /><br /> "1980년대를 기점으로 해서 전 세계적으로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는 추세거든요. 더불어서 빈곤층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요. 유럽 같은 경우도 복지국가로 보여줬던 상당한 성과가 1980년대부터 계속 훼손되고 있는 거죠."<br /><br />지극히 한국적인 '오징어 게임'이 세계인을 사로잡은 배경에는 전 세계적인 불평등 현상이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 "'오징어 게임'은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상징적인 환경에 잘 녹아들게 표현하고 있는데요. 마치 로또를 맞듯이 부채를 일거에 사라지게 해줄 수 있는…그런 것들이 오징어 게임을 원하는 모습으로 설득력 있게 다가오는 겁니다."<br /><br />외신들은 '오징어 게임'이 계급 격차를 다루면서 상업성까지 잡은 영화 '기생충'과 같다는 해석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불평등을 다룬 한국의 작품들이 연이어 '글로벌 히트'를 치면서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함의를 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.<br /><br />[코너:이준흠 기자]<br /><br />요즘 안 보면 대화에 끼기 힘들 정도입니다.<br /><br />경제적으로 벼랑 끝...